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and the Humanities: The Zeitgeist of a Convergent Future
바야흐로 경계가 사라지는 시대이다. 우리가 오랫동안 당연하게 여겨왔던 학문의 칸막이와 산업의 구분은 디지털이라는 거대한 파도 앞에서 그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인문학은 인문학의 길을, 공학은 공학의 길을 걷던 시대는 저물고 있다. 이제 세상은 하나의 언어만으로는 온전히 이해할 수도, 설명할 수도 없는 복잡계(Complex System)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전환의 한가운데에서, 우리는 스스로에게 근본적인 질문을 던져야 한다. 기술이 인간을 위해 복무하게 하려면 우리는 무엇을 알아야 하며, 어떠한 인재로 성장해야 하는가? 이 칼럼은 그 질문에 대한 하나의 답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기술의 언어를 이해하는 인문학도, 인간의 마음을 헤아리는 공학도가 만들어갈 새로운 미래, 즉 정보기술과 인문사회과학의 필연적인 만남이 지니는 의미와 그 무한한 가능성을 세 개의 장에 걸쳐 심도 있게 논하고자 한다.
We are living in an era of disappearing boundaries. The academic silos and industrial divides we long took for granted are losing their meaning before the great wave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age when the humanities walked its own path and engineering its own is fading. The world has become a complex system that can no longer be fully understood or explained through the lens of a single discipline. In the midst of this epochal shift, we must ask ourselves a fundamental question: To ensure that technology serves humanity, what must we know, and what kind of leaders must we become? This column is an attempt to answer that question. It seeks to explore in depth, across three distinct parts, the profound implications and infinite possibilities born from the necessary un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humanities—a new future forged by humanists who understand the language of technology and engineers who grasp the complexities of the human heart.
1. 왜 인문학도는 IT의 언어를 배워야 하는가? Why Those in the Humanities Must Learn the Language of IT?
오랫동안 우리 사회에는 ‘문과’와 ‘이과’를 구분하는 이분법적 사고가 굳건히 자리 잡고 있었다. 인문학도는 기술에 무지하고, 공학도는 인간 사회에 무관심하다는 식의 고정관념은 견고한 벽처럼 느껴졌다. 그러나 디지털 전환이 사회의 기본 운영체제(OS)가 된 지금, 이러한 구분은 시대착오적인 미신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명백해지고 있다. 인문학도가 정보기술(IT)을 배워야 하는 이유는 단순히 남들보다 뒤처지지 않기 위한 생존 전략을 넘어, 자신의 학문적 정체성을 더욱 심화하고 확장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성장 전략이기 때문이다.
For a long time,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that separates the liberal arts from the sciences has been firmly entrenched in our society. The stereotype of the humanities major who is inept with technology, and the engineering major who is indifferent to human society, has felt like an impenetrable wall. However, now that digital transformation has become the fundamental operating system of society, it is clear that this distinction is nothing more than an anachronistic myth. The reason why humanities students must learn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not merely a survival strategy to avoid falling behind; it is the most powerful growth strategy available for deepening and expanding their own academic identity.
과거 산업 사회의 패러다임은 ‘분업’과 ‘전문화’였다. 정해진 영역에서 누구보다 깊은 지식을 쌓은 ‘I자형 인재’가 각광받던 시대였다. 그러나 모든 것이 실시간으로 연결되고 데이터가 폭증하는 초연결 사회에서, 한 우물만 파는 전문가는 예기치 못한 변화 앞에서 방향을 잃기 쉽다.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은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깊이를 갖추는 동시에(T의 세로 기둥), 다양한 분야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타 분야 전문가와 유연하게 협업할 수 있는 ‘T자형 인재’이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인문학과 IT라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전문 분야를 동시에 갖춘 ‘파이(π)형 인재’는 대체 불가능한 경쟁력을 지니게 된다.
The paradigm of the past industrial society was "division of labor" and "specialization." It was an era that prized the "I-shaped" individual, a specialist who had cultivated deep knowledge in a designated field. But in a hyper-connected society where everything is linked in real time and data explodes exponentially, a specialist who only digs one well can easily lose their way in the face of unexpected change. The talent demanded by contemporary society is the "T-shaped" individual—one who possesses both a profound depth in their own field of expertise (the vertical bar of the T) and a broad understanding of various other disciplines that allows them to collaborate flexibly with experts from different backgrounds (the horizontal bar). Taking this one step further, the "π-shaped" individual, who possesses deep expertise in two distinct fields such as the humanities and IT, gains an irreplaceable competitive edge.
정보기술이 ‘어떻게(How)’라는 질문에 대한 탁월한 답을 제공한다면, 인문학은 ‘왜(Why)’라는 근원적인 질문을 던짐으로써 기술의 방향성을 설정한다. 기술은 더 빠른 속도, 더 높은 효율, 더 많은 데이터 처리를 목표로 질주한다. 하지만 인문학적 성찰은 그 질주에 제동을 걸고 질문한다. ‘우리가 왜 이 기술을 개발해야 하는가?’, ‘이 기술은 과연 인간의 삶을 더 행복하게 만드는가?’, ‘기술 발전의 그늘에서 소외되는 이들은 없는가?’ 이 ‘왜’라는 질문이 부재한 기술 발전은 때로는 인간성을 위협하는 괴물이 되기도 한다.
If IT provides brilliant answers to the question of "How," the humanities establishes the direction of technology by asking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y." Technology relentlessly pursues greater speed, higher efficiency, and the capacity to process more data. But humanistic reflection applies the brakes to this sprint and asks: "Why must we develop this technology?" "Does this technology truly make human lives happier?" "Are there people being marginalized in the shadow of this technological progress?" Technological development devoid of this question of "Why" can sometimes become a monster that threatens our very humanity.
최근 급부상한 인공지능(AI) 챗봇 기술을 예로 들어보자. 공학자들은 어떻게 하면 AI가 더 사람처럼 자연스럽게 대화하고, 더 많은 지식을 학습하게 할지를 고민한다. 그러나 인문학자들은 AI가 인터넷상의 편향된 데이터를 학습하여 인종, 성별, 지역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재생산할 가능성을 경고한다. AI의 발언에 대한 법적, 윤리적 책임은 개발자, 운영사, 사용자 중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은 법학과 철학의 영역이다. AI와의 상호작용이 인간, 특히 아동의 정서 발달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은 심리학과 교육학의 깊은 통찰을 요구한다. 이처럼 기술의 사회적 수용성과 지속가능성은 결국 인문사회과학적 토대 위에서만 확보될 수 있다.
Consider the recent surge in AI chatbot technology. Engineers focus on how to make an AI converse as naturally as a human and learn more knowledge. Humanists, however, warn of the potential for AI to reproduce discrimination and hatred based on race, gender, or region by learning from biased internet data. Forging a social consensus on who bears the leg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for an AI's erroneous statements—the developer, the operating company, or the user—falls within the domain of law and philosophy. The impact of AI interaction on human, and especially child, emotional development and social skills requires deep insights from psychology and education. As such, the social acceptance and sustainability of any technology can ultimately only be secured upon a humanistic and social scientific foundation.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성공 여부 역시 기술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전 과정에서 겪게 되는 총체적 경험, 즉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이 핵심이다. 개발자는 오류 없이 빠르게 작동하는 기능을 구현하지만, 사용자가 그 기능을 쉽고 편리하며 즐겁게 느끼도록 설계하는 것은 UX 연구원의 몫이다. 이들은 인류학의 민족지학적 연구 방법론을 차용하여 사용자의 생활 환경 속으로 들어가 그들의 숨겨진 욕구와 불편함을 관찰한다. 인지과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인간의 정보 처리 방식에 가장 적합한 화면 구성을 설계하고, 심리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행동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한다. 앱의 버튼에 들어가는 단어 하나, 안내 문구 한 줄을 작성하는 ‘UX 라이팅(UX Writing)’은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브랜드의 스토리를 전달하는 문학적 소양을 필요로 한다. 이 모든 과정은 기술과 인간 이해가 어떻게 정교하게 결합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이다.
The success of the smartphone applications we use daily is also not determined by technology alone. The key is the "User Experience (UX)," the holistic experience a user has throughout their entire journey with a service. A developer implements features that work quickly and without errors, but it is the job of the UX researcher to design an experience that users find easy, convenient, and enjoyable. These researchers borrow ethnographic methodologies from anthropology, entering the user's life context to observe their hidden needs and pain points. They apply principles of cognitive science to design screen layouts best suited for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use psychological knowledge to guide user behavior in a positive direction. "UX Writing," the craft of composing every word a user sees on an app, from buttons to instructions, demands a literary sensibility that can evoke emotion and convey a brand's story. This entire process clearly demonstrates how technology and an understanding of humanity are intricately combined.
21세기의 원유로 불리는 ‘데이터’의 등장은 인문학도에게 위기이자 기회이다. 데이터를 읽고,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해석하며, 가치 있는 인사이트를 추출하는 능력인 ‘데이터 리터러시(Data Literacy)’는 이제 모든 분야의 학자에게 요구되는 기본 소양이다. 과거에는 소수의 문헌과 사료에 의존해야 했던 역사학 연구는 이제 ‘디지털 역사학(Digital History)’으로 진화하고 있다. 방대한 양의 고문서와 기록물을 디지털화하고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으로 분석함으로써, 과거에는 발견할 수 없었던 사회경제적 패턴이나 언어 사용의 변화를 거시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 되었다. 사회학자들은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사회 이슈에 대한 여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확산하는지를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계산 사회과학(Computational Social Science)’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데이터는 더 이상 이공계의 전유물이 아니며, 인문학 연구의 지평을 넓히고 주장의 객관성을 강화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가 된 것이다.
The emergence of data as the "oil of the 21st century" presents both a crisis and an opportunity for the humanities. "Data literacy"—the ability to read, understand, critically interpret, and extract valuable insights from data—is now a fundamental skill required of scholars in every field. Historical research, which once relied on a limited number of texts and records, is now evolving into "Digital History." By digitizing vast archives and analyzing them with text-mining techniques, historians can now macroscopically survey socioeconomic patterns or shifts in language use that were previously undiscoverable. Sociologists are pioneering new fields like "Computational Social Science," tracking in real time how public opinion on specific social issues forms and spreads by analyzing data from social media platforms like X (formerly Twitter) and Facebook. Data is no longer the exclusive domain of STEM fields; it has become a powerful tool that broadens the horizons of humanistic inquiry and strengthens the objectivity of its claims.
이러한 융합의 흐름은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직업들을 탄생시키고 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의 행동을 예측하고 최적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디지털 마케터’, 기술의 윤리적, 사회적 영향을 분석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AI 윤리 전문가’, 조직의 목표에 부합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기획하고 유통 전략을 설계하는 ‘콘텐츠 스트래터지스트’ 등은 모두 기술에 대한 이해와 인간 사회에 대한 통찰을 동시에 요구하는 직업들이다.
This convergent trend is giving birth to new professions that did not exist in the past. The "Digital Marketer," who analyzes data to predict customer behavior and execute optimal marketing strategies; the "AI Ethicist," who analyzes the ethical and social impacts of technology and proposes guidelines; and the "Content Strategist," who designs plans for creating and distributing digital content aligned with an organization's goals—all these roles demand both a technical understanding and a deep insight into human society.
결론적으로, 인문학도가 IT를 배우는 것은 자신의 정체성을 버리고 공학의 영역으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인문학의 가장 큰 강점인 ‘비판적 사고’와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방식으로 구현하고 확장하는 과정이다. 복잡한 사회 문제의 본질을 꿰뚫어 보는 인문학적 통찰력에, 그 문제를 해결할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IT라는 도구가 결합될 때, 우리는 비로소 세상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힘을 갖게 된다. IT는 인문학도에게 자신의 철학과 상상력을 현실 세계에 구현할 수 있도록 날개를 달아주는 것과 같다.
In conclusion, for a humanities major to learn IT is not to abandon their identity and cross over into the domain of engineering. Rather, it is a process of embodying and expanding the greatest strengths of the humanities—critical thinking and a profound understanding of the human condition—in a manner befitting the digital age. When the humanistic insight that penetrates the essence of complex social problems is combined with the concrete and efficient tool of IT to solve them, we finally possess the powerful ability to bring about real change in the world. For the humanist, IT is like a pair of wings, allowing them to realize their philosophies and imaginations in the real world.
2. 디지털 시대의 문법: IT와 디지털 전환(DX)의 본질 The Grammar of the Digital Age: The Essence of IT and Digital Transformation (DX)
우리는 정보기술이라는 용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지만, 그 실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경우는 드물다. 정보기술, 즉 IT(Information Technology)란 단순히 컴퓨터나 인터넷을 지칭하는 단어가 아니다. 그것은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 처리, 교환하는 데 필요한 모든 유형의 기술과 시스템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IT 시스템은 크게 네 가지 핵심 요소로 구성된다. 첫째, 눈에 보이고 만질 수 있는 물리적 장치인 ‘하드웨어(Hardware)’이다. PC, 스마트폰, 서버 등이 이에 해당하며, 이는 인간의 몸과 같은 역할을 한다. 둘째, 하드웨어에 명령을 내려 특정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Software)’이다. 이는 시스템 전체를 관장하는 운영체제(OS)와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App)으로 나뉘며, 인간의 정신 혹은 영혼에 비유할 수 있다. 셋째, 이 분리된 기기들을 서로 연결하여 정보가 흐르게 하는 통신망인 ‘네트워크(Network)’이다. 이는 우리 몸의 신경계처럼 정보가 오가는 길의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이 시스템이 다루는 내용물 그 자체인 ‘데이터(Data)’이다. 이 네 가지 요소는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우리가 아는 IT 시스템을 구성한다.
Although we use the term Information Technology in our daily lives, it is rare to have a precise understanding of what it entails. IT is not simply a word for computers or the internet. It is a broad concept that encompasses all types of technologies and systems required to create, store, process, and exchange information. An IT system is composed of four core components. First is "Hardware," the physical equipment you can see and touch, such as PCs, smartphones, and servers. It functions as the body of the system. Second is "Software," which gives commands to the hardware to perform specific tasks. This includes both the operating systems (OS) that manage the entire system and the applications (Apps) used for specific purposes, analogous to the mind or spirit. Third is the "Network," the communication web that connects these disparate devices, allowing information to flow. This serves as the system's nervous system. Finally, there is "Data," the content itself that the system handles. These four elements combine organically to form the IT systems we know.
그렇다면 최근 모든 기업과 조직의 화두가 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은 IT와 어떻게 다른가? 많은 이들이 DX를 최신 IT 기술을 도입하는 것과 동일시하는 오류를 범한다. 그러나 손으로 쓰던 회계 장부를 엑셀 프로그램으로 바꾸는 것은 DX가 아니라 단순히 IT 도구를 도입한 ‘전산화(Digitization)’ 단계에 불과하다. DX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IT를 활용하여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운영 프로세스, 조직 문화, 고객과의 관계 맺는 방식 등 모든 것을 디지털 시대에 맞게 근본적으로 재설계하는 총체적인 혁신 활동을 의미한다. 즉, DX는 ‘도구의 변화’가 아니라 ‘조직의 체질 변화’이며, 기술 그 자체가 아닌 전략과 문화의 영역에 속한다.
So, how does "Digital Transformation (DX)," the watchword of every modern organization, differ from IT? Many mistakenly equate DX with the mere adoption of the latest IT. However, replacing a handwritten accounting ledger with an Excel spreadsheet is not DX; it is simply a step of "Digitization." DX goes much further. It is a holistic innovation activity that leverages IT to fundamentally redesign a company's business model, operational process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methods of customer engagement to fit the digital era. In short, DX is not a change of tools but a change of an organization's constitution; it belongs not to the realm of technology itself, but to the realms of strategy and culture.
DX의 본질은 세 가지 핵심적인 변화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고객 경험(Customer Experience)의 혁신’이다.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고객이 인지하고, 구매하고, 사용하고, 피드백을 남기는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편함(Pain Point)을 디지털 기술로 해결하여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편리함과 만족감을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는 ‘운영 프로세스(Operational Process)의 최적화’이다. 반복적이고 비효율적인 내부 업무를 자동화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의 정확성과 속도를 높여 조직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의 재창조’이다. 기존에 돈을 벌던 방식의 틀을 깨고, 디지털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완전히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수익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The essence of DX can be summarized in three core transformations. The first is the "innovation of the Customer Experience." This involves using digital technology to solve the "pain points" that arise throughout the customer journey—from awareness and purchase to use and feedback—thereby providing a level of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that was previously unimaginable. The second is the "optimization of Operational Processes." This means automating repetitive and inefficient internal tasks and maximizing organizational productivity by increasing the speed and accuracy of decision-making through data analysis. Finally, and most importantly, is the "reinvention of the Business Model." This involves breaking free from traditional revenue models and creating entirely new value and profit streams based on digital technologies and data.
이러한 DX의 힘을 가장 극적으로 보여준 사례는 비디오 대여 시장의 역사를 바꾼 넷플릭스이다. 과거 시장의 절대 강자였던 블록버스터 역시 재고 관리를 위해 IT 시스템을 도입했지만, ‘고객이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비디오테이프를 빌려 간다’는 핵심 비즈니스 모델의 틀은 바꾸지 않았다. 그들은 DX가 아닌 전산화에 머물렀다. 반면 넷플릭스는 인터넷 스트리밍이라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산업의 규칙 자체를 파괴했다. 고객은 더 이상 매장에 갈 필요도, 연체료를 걱정할 필요도 없이 월정액 구독료만으로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넷플릭스는 전 세계 가입자들의 방대한 시청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떤 배우와 감독, 어떤 장르의 조합이 성공할지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우스 오브 카드>와 같은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여 콘텐츠 제작사의 영역까지 진출했다. 이는 완벽한 비즈니스 모델의 재창조였다.
The most dramatic example of the power of DX is Netflix, which rewrote the history of the video rental market. Blockbuster, the former undisputed market leader, also introduced IT systems for inventory management, but it never changed its core business model of "customers visiting a physical store to rent a videotape." They remained at the stage of digitization, not transformation. Netflix, on the other hand, used the digital technology of internet streaming to destroy the rules of the industry itself. Customers no longer needed to go to a store or worry about late fees; for a flat monthly subscription, they could enjoy unlimited content anytime, anywhere. Furthermore, Netflix analyzed the massive viewing data of its global subscribers to predict which actors, directors, and genres would succeed, and based on this, it produced original content like House of Cards, expanding into the territory of a production studio. This was a complete reinvention of the business model.
스타벅스의 사례 또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스타벅스는 스스로를 ‘커피를 파는 IT 기업’으로 정의한다. 그들의 핵심 경쟁력은 모바일 주문 및 결제 시스템인 ‘사이렌 오더’에서 나온다. 고객은 줄을 서는 불편함 없이 앱을 통해 미리 주문함으로써 소중한 시간을 절약하는 혁신적인 고객 경험을 하게 된다. 스타벅스는 사이렌 오더를 통해 축적된 고객의 주문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화된 마케팅을 제공하고, 매장 운영을 최적화하며, 앱을 통해 고객과의 강력한 유대 관계를 형성한다. 커피라는 지극히 아날로그적인 상품에 디지털 경험이라는 가치를 완벽하게 융합시킨 것이다.
The case of Starbucks is also highly instructive. Starbucks defines itself as "an IT company that sells coffee." Its core competency comes from its mobile ordering and payment system. By ordering ahead through the app, customers experience the innovation of saving precious time,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waiting in line. Starbucks analyzes the customer order data accumulated through this system to deliver personalized marketing, optimize store operations, and build powerful relationships with its customers. It perfectly fuses the value of a digital experience with the deeply analog product of coffee.
이처럼 DX는 이제 일부 혁신 기업의 이야기가 아니라, 산업과 시대를 불문하고 모든 조직의 생존을 위한 필수 조건이 되었다.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 환경을 경험한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면서 고객의 기대 수준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 또한 산업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기존의 경쟁 문법이 통하지 않게 되었다. 은행은 더 이상 다른 은행과만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카카오뱅크와 같은 IT 플랫폼 기업과 경쟁해야 하는 시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거의 방식만을 고수하는 것은 점진적인 쇠퇴가 아닌 급작스러운 소멸로 이어질 수 있다.
DX is no longer the story of a few innovative companies; it has become an essential condition for survival for all organizations, regardless of industry or era. As "digital natives"—generations who have experienced a digital environment from birth—become the main consumer group, customer expectations have risen to unprecedented levels. Furthermore, as boundaries between industries blur, traditional rules of competition no longer apply. Banks must now compete not only with other banks but also with IT platform companies like Chime or Venmo. In this environment, adhering to old ways is a path not to gradual decline, but to sudden extinction.
그러나 수많은 기업이 야심 차게 DX를 추진하다가 실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부분의 경우, 문제는 기술의 부족이 아니라 ‘사람’과 ‘조직 문화’에 있다. 아무리 뛰어난 AI 솔루션을 도입해도, 구성원들이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불신하고 기존의 관행과 직관을 고집한다면 무용지물이다. 변화에 대한 저항, 실패에 대한 두려움, 부서 간의 이기주의가 DX의 가장 큰 걸림돌이다. 결국 성공적인 DX는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실패를 용납하고 끊임없이 실험하는 문화를 조성하며, 모든 구성원이 디지털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하는 지난한 과정 속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조직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조직 행동론 등 인문사회과학적 지혜가 기술 그 자체보다 훨씬 더 중요해지는 것이다. IT가 강력한 ‘엔진’이라면, DX는 그 엔진을 달고 ‘새로운 가치 창출’이라는 목적지를 향해 나아가는 ‘여정’ 그 자체이며, 그 여정을 이끄는 것은 결국 사람에 대한 깊은 이해이다.
Yet, why do so many companies fail in their ambitious pursuit of DX? In most cases, the problem is not a lack of technology but an issue of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No matter how brilliant an AI solution is, it is useless i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distrust data-driven decision-making and cling to old practices and intuition. Resistance to change, fear of failure, and departmental selfishness are the biggest obstacles to DX. Ultimately, successful DX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a painstaking process, one that builds a culture of fearless experimentation under strong leadership and supports all members in acquiring digital capabilities. It is precisely at this point that humanistic and social scientific wisdom—in leadership,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behavior—becomes far more critical than the technology itself. If IT is a powerful engine, then DX is the journey toward the destination of "new value creation," and it is a deep understanding of people that ultimately steers that journey.
3. 새로운 시대의 학문, 융합의 시사점 The New Academia: Implications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전통적인 학문 체계는 근대 산업 사회의 요구에 맞춰 고도로 분업화되고 전문화되었다. 대학의 학과들은 마치 외부와 단절된 높은 저장고인 ‘사일로(Silo)’처럼 각자의 영역 안에서 독립적으로 지식을 생산하고 전수했다. 경영학, 컴퓨터공학, 사회학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이질적인 세계였다. 이러한 전문화는 특정 분야의 지식을 깊이 있게 발전시키는 데는 크게 기여했지만, 현실 세계가 제기하는 복합적인 문제들 앞에서는 명백한 한계를 드러냈다.
The traditional academic system was highly specialized and siloed,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University departments were like "silos," tall and isolated, producing and transmitting knowledge independently within their own domains. Business, computer science, and sociology were disparate worlds speaking different languages. This specialization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ep development of knowledge in specific fields, but it revealed clear limitations when faced with the complex problems of the real world.
현실의 문제는 결코 하나의 전공 지식만으로 풀 수 있는 단순한 방정식이 아니다. 최근 우리 사회의 소비 문화를 바꾸고 있는 배달 앱의 성공 전략을 분석한다고 가정해 보자.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경영학적 지식, 안정적인 서비스를 구현하는 컴퓨터공학적 기술, 변화하는 1인 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배달 노동자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 사용자의 눈길을 사로잡고 편리한 주문을 이끄는 디자인과 심리학적 접근이 모두 종합적으로 필요하다. 이처럼 현실의 문제는 본질적으로 여러 학문의 경계에 걸쳐 있는 ‘학제적(Interdisciplinary)’ 성격을 띤다.
Real-world problems are never simple equations that can be solved with knowledge from a single major. Imagine analyzing the success strategy of a food delivery app like DoorDash, which has transformed our consumption culture. This requires a comprehensive approach: business knowledge of platform models, the computer science expertise to build a stable service, sociological analysis of changing single-household lifestyles and the social issues of gig workers, and a design and psychological approach to create a convenient and captivating user interface. As this example shows, real-world problems are inherently "interdisciplinary" in nature, straddling the boundaries of multiple fields of study.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등장한 것이 바로 ‘학제화’, 즉 학문 간의 벽을 허물고 다리를 놓으려는 시도이다. 학제적 접근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학문 분야가 각자의 고유한 시각과 방법론을 공유하고 충돌시키며 새로운 해법을 모색하는 창조적 과정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탄생한 대표적인 융합 학문이 바로 ‘융합경영(Convergence Management)’이다. 이는 정보기술의 잠재력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며, 그 모든 과정의 중심에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인문학적 통찰을 두는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이다. 기술, 비즈니스, 인간이라는 세 꼭짓점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융합경영의 핵심이다.
In response to this demand, the concept of "interdisciplinarity" emerged—an attempt to tear down the walls between disciplines and build bridge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s a creative process where various fields of study share and collide with their unique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to find new solutions to specific problems. A representative convergent field born from this trend is "Convergence Management." This is a new management paradigm that deeply understands the potential of information technology, designs sustainable business models based on it, and places humanistic insight about people and society at the center of the entire process. Its core is to create new value by organically linking the three vertices of technology, business, and humanity.
이러한 학문적 패러다임의 변화는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에도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앞서 언급한 T자형, 파이(π)형 인재에 대한 수요가 바로 그것이다. 기업들은 더 이상 하나의 기능에만 능숙한 부품 같은 전문가를 원하지 않는다. 대신,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팀원들의 언어를 이해하고 그들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하며, 기존의 틀을 깨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를 절실히 찾고 있다.
This shift in the academic paradigm has brought about a fundamental change in the type of talent our society demands. The need for the aforementioned T-shaped and π-shaped individuals is a direct result. Companies no longer want specialists who are like cogs in a machine, proficient in only one function. Instead, they desperately seek convergent talent who can understand the languages of team members from different backgrounds, act as a bridge between them, and propose creative ideas that break existing molds.
융합의 힘을 가장 극적으로 증명한 사례는 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이다. 그는 생전에 애플의 DNA는 “기술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Technology alone is not enough)”는 믿음 위에 세워졌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그는 애플이 언제나 ‘기술과 인문학의 교차점(Intersection of technology and liberal arts)’에 서 있고자 노력했다고 말했다. 그가 대학 시절 심취했던 캘리그래피(서체 디자인) 수업은 훗날 개인용 컴퓨터에 세계 최초로 아름다운 글꼴을 탑재하는 영감이 되었다. 이는 기술적으로는 사소해 보일 수 있는 차이였지만,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만족감을 주며 애플 제품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었다. 인간의 직관과 인지 과정을 고려한 단순하고 아름다운 디자인 철학, 소비자를 열광적인 팬으로 만드는 강력한 브랜드 스토리텔링은 모두 기술의 힘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인문학적 감성의 산물이다.
The most dramatic proof of the power of convergence is Apple and its founder, Steve Jobs. He repeatedly emphasized that Apple's DNA was built on the belief that "technology alone is not enough." He stated that Apple always sought to stand at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and liberal arts." A calligraphy class he took in college inspired him to incorporate beautiful typography into a personal computer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is might seem like a minor technical difference, but it was a decisive factor in forming the identity of Apple products by providing emotional satisfaction to users. The simple and beautiful design philosophy that considered human intuition, and the powerful brand storytelling that turned consumers into avid fans, are all products of a humanistic sensibility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echnological prowess alone.
융합의 시대는 혁신이 일어나는 방식 또한 바꾸고 있다. 과거의 혁신이 주로 연구개발(R&D) 부서에서 출발하는 기술 주도형(Technology-push)이었다면, 현재의 혁신은 철저히 사용자에 대한 깊은 공감에서 시작하는 인간 중심의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으로 이동하고 있다. 디자인 씽킹의 첫 단계는 사용자를 인류학자처럼 관찰하고 인터뷰하며 그들의 삶의 맥락을 이해하는 ‘공감(Empathize)’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잠재된 욕구나 진짜 문제를 발견하고, 다양한 전공의 사람들이 모여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아이디어를 발산하며, 빠르게 시제품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테스트받고 실패를 통해 배워나가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과정 전체가 바로 융합적 협업의 실천이다.
The age of convergence is also changing the very way innovation happens. If past innovation was primarily technology-push, originating from R&D departments, current innovation is shifting toward human-centered "Design Thinking," which begins with deep empathy for the user. The first step of Design Thinking is "Empathize," where one observes and interviews users like an anthropologist to understand their life context. Through this, latent needs and real problems that users cannot articulate are discovered. Then, people from various disciplines brainstorm ideas, quickly build prototypes, test them with users, and repeat the cycle of learning from failure. This entire process is the practice of convergent collaboration.
이러한 변화는 당연히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한다. 정해진 지식을 암기하여 하나의 정답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는 능력을 평가하던 과거의 교육 방식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미래의 교육은 정답이 없는 복잡한 현실의 문제를 스스로 정의하고, 다양한 지식을 연결하여 창의적인 해결책을 만들어내며, 그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는 역량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대학에 융합 전공이 신설되고, 실제 기업이나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팀 기반 프로젝트 수업(PBL, Project-Based Learning)이 확산하는 것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는 필연적인 결과이다.
This change naturally demands a paradigm shift in education. The old educational model, which focused on evaluating the ability to memorize given knowledge and find a single correct answer quickly, is no longer valid. The education of the future must cultivate the ability to define and solve complex, real-world problems that have no single right answer, the ability to create new value by connecting diverse knowledge, and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effectively with others. The establishment of interdisciplinary majors and the spread of Project-Based Learning (PBL), where teams solve real business or social problems, are inevitable results of this historical trend.
물론, 서로 다른 언어와 사고방식을 가진 전문가들이 만나는 융합의 과정이 항상 순탄한 것만은 아니다. 초기에는 소통의 장벽과 오해로 인해 갈등을 겪을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공동의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서로의 다름을 틀림이 아닌 강점으로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 나갈 때, 우리는 개인이 가진 능력의 총합을 뛰어넘는 창발적(Emergent) 시너지를 경험할 수 있다.
Of course, the process of convergence, where experts with different languages and ways of thinking meet, is not always smooth. Initially, communication barriers and misunderstandings can lead to conflict. However, when we clearly establish a "shared goal to be solved together" and cultivate a culture that respects differences not as flaws but as strengths, we can experience an emergent synergy that transcends the sum of individual abilities.
궁극적으로, 기술과 인문사회과학의 융합은 기업의 이윤 창출을 넘어 고령화, 환경오염, 사회적 불평등과 같이 인류가 직면한 거대하고 복잡한 난제들을 해결하는 유일한 열쇠이다. 독거노인의 건강과 안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은 노인의 심리적 고립감과 사회적 관계망을 고려하는 사회복지학적 접근과 결합될 때 비로소 ‘따뜻한 기술’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융합은 더 이상 일부 혁신가들의 구호가 아닌,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시대정신(Zeitgeist)이다. 그리고 그 거대한 변화의 중심에, 바로 기술의 언어를 배우고 인간의 마음을 탐구하는 우리가 서 있다. 우리의 어깨에 미래 사회의 모습을 그려나갈 무거운 책임과 가슴 뛰는 가능성이 함께 놓여 있는 것이다.
Ultimately,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the humanities is more than just a strategy for corporate profit; it is the only key to solving the grand, complex challenges facing humanity, such as aging population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ocial inequality. IoT technology that monitors the health and safet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can only become "warm technology" when combined with a social welfare approach that considers their psychological isolation and social networks. As such, convergence is no longer the slogan of a few innovators but the zeitgeist—the spirit of the age—for all of us. And at the center of this great transformation stand those of us who are learning the language of technology and exploring the human heart. On our shoulders rests both the solemn responsibility and the thrilling possibility of designing the society of the future.
'글로벌AI융합과 산업&경제,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융합경영연습: 사업계획서(제안서)의 기본 개념과 구조 (1) | 2024.12.12 |
---|---|
융합경영연습: 문제해결 방안 챕터의 구성 (54) | 2024.12.03 |
융합경영연습: 시장조사 후 문제 인식과 해결 가능한 문제 확정하기 (0) | 2024.11.18 |
융합경영연습: 환경 분석과 시장 조사 (32) | 2024.11.12 |
융합경영연습: 사업 제안서 및 상품 기획서의 기초, 기획의 배경(서론) 작성하기 (16) | 2024.11.05 |